1. 亭子的英語翻譯 亭子用英語怎麼說
亭子
詞典pavilion:亭,閣樓;(公共活動或展覽用的)臨時建築物;大型文體館;看台。
詞典kiosk:亭子,涼亭;(車站、廣場等處的)書報攤,,公共電話亭;小攤棚,售貨亭。
詞典gloriette:亭子,涼亭。
詞典summerhouse:涼亭。
2. 請幫忙將以下韓語翻譯成中國 2
在酒店早餐後,在最後一天去上海博物館。1952年在上海市場的支持下,上海博物館,是通過整合幾個博物館建成中國是四大博物館之一。上海著名的花園,然後將前往豫園。由40多個亭台樓閣,涼亭及一個戰斗集團北京頤和園豫園是一個旅遊景點很多。上海仁寺洞則可以稱為老街將要參加的。古董和傳統產品的品種是一個很大的商場。龍南翔小饅頭店南京巡迴演唱會後的午餐路去滿足。上海南京路的中心,沿著公路穿過大街小巷賓館運行,商店,百貨店,總是有很多人在排隊密集。畢業後在南京路南京路購物了晚飯後在附近的韓國食堂上海浦東國際機場乘飛機飛往23日21:00到達,預計抵達仁川國際機場。
3. 青島的以下景點用韓國語怎麼說顯示韓語!謝謝
1、棧橋
잔교 다리
2、嶗山
노산
3、五四廣場
이전글
4、第一海水浴場
청도제일해수욕장
5、黃島
황도
6、金沙灘
금사탄
7、電視塔
청도방송탑
8、書城
투슈청
——————————————————————
其他參考:
올림픽 요트 경기 센터 (奧帆中心)
TV 방송탑 올림픽 홈 (電視塔奧運大廳)
8대관 (八大觀)
소어산 (小魚山)
잔교 (棧橋)
신호산 (信號山)
영빈관 (迎賓館)
노산태청궁 (嶗山太清宮)
금기옥린 온천산장 (金麒玉麟 溫泉山莊)
금사탄 (金沙灘)
탕도만 (唐島灣)
소주산 (小舟山)
4. 韓文用韓文怎麼說
韓文的韓文是한글。
한글
1、含義:韓文
2、用法:在句子中充當主語或者賓語。
3、短語:
한글 낱자韓語字母 ; 朝鮮語字母
한글 소개韓文簡介
한글날諺文日 ; 韓文日 ; 韓文節 ; 韓字日
한글자모韓文字母
한글 맞춤법韓文拼寫法
4、例句:한글은 아름다운 문자다!
5、翻譯:韓文是一種美麗的文字!
(4)涼亭用韓國語怎麼說擴展閱讀:
近義詞:한국어
한국어
1、含義:韓語
2、用法:在句子中充當主語或者賓語。
3、短語:
한국어과 韓文系
재일 한국어 在日朝鮮語
실용한국어 實用韓國語
한국어 교육 韓語金牌家教 ; 韓語培訓 ; 韓語家教
한국어훈련 韓語培訓
한국어학원 韓國語夜校
4、例句:미국인치고는 한국어를 잘 한다.
5、翻譯:作為美國人,韓國語講得很好。
5. 誰知道韓語常用的話(帶諧音)
1.안녕하세요(安寧哈塞喲):見到韓國朋友說一句「您好」
2.만나서반갑습니다(滿拉所盼嘎不是米大):見到你很高興
3.잘부탁합니다(擦兒不它卡米大):多多關照
4.감사합니다(卡目沙哈米大):謝謝
5.죄송합니다(罪送哈米大):對不起
6.안녕히가세요(安寧習卡色喲):再見,走好,在客人離開的時候主人對客人說的話
7.안녕히계세요(安寧習給色喲):再見,對主人說的話
8.사랑해요(薩朗黑喲):我愛你,在韓劇中經常可以聽到的。
9.좋아해요(做啊黑喲):喜歡
10.맛있게드세요(嗎習給多色喲):吃好啊
11.배불러요(別不兒羅喲):我吃飽了
12.고파요(過怕喲):肚子餓了
13.연락할게요(眼兒拉卡兒給喲):我聯系你
14.안녕히주무세요(安寧習租目塞喲):晚安
15.생일축하합니다(生一兒粗卡哈米大):生日快樂
16.아자!아자!회이팅!(啊雜,啊雜,華一聽):加油!
17.오빠,사랑해요(哦吧,沙浪黑喲):看到自己喜歡的韓國歌星可以說的一句很實用的話,讓他能一下子注意到你。要注意這里的「오빠」是女孩子才能說的哦
18.도와주세요(多哇主塞喲):請幫我
手機黨 給分謝謝
6. 韓語用韓語怎麼說
한국어 /han gug ge/-/憨姑哥/
差不多就是這個發間了,韓語的發音用中文無法形象的表示
7. "韓語"用韓語怎麼說
한국어 是韓國話
「한국」也是韓語的意思。
比如:學韓語是「한국을 공 부 하 다 」
8. 求韓國著名隨筆《무소유》的中文翻譯◆◆◆◆◆◆◆◆◆◆◆◆◆◆◆◆◆
나는 가난한 탁발승이오. 내가 가진 거라고는 물레와 교도소에서 쓰던 밥그릇과 염소 젖 한 깡통, 허름한 요포 여섯장, 수건 그리고 대단치도 않은 평판 이것 뿐이오.\"
마하트마 간디가 1931년 9월 런던에서 열린 제2차 원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가던 도중 세관원에게 소지품을 펼쳐 보이면서 한 말이다. K. 크리팔라니가 엮은 <<간디어록>>을 읽다가 이 구절을 보고 나는 몹시 부끄러웠다. 내가 가진 것이 너무 많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적어도 지금의 내 분수로는.
사실, 이 세상에 처음 태어날 때 나는 아무것도 갖고 오지 않았었다. 살만큼 살다가 이 지상의 적(籍)에서 사라져 갈 때에도 빈손으로 갈 것이다. 그런데 살다 보니 이것 저것 내 몫이 생기게 된 것이다. 물론 일상에 소용되는 물건들이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없어서는 안될 정도로 꼭 요긴한 것들 만일까? 살펴볼수록 없어도 좋을 만한 것들이 적지 않다.
우리들이 필요에 의해서 물건을 갖게 되지만, 때로는 그 물건 때문에 적잖이 마음이 쓰이게 된다. 그러니까 무엇인가를 갖는다는 것은 다른 한편 무엇인가에 얽매인다는 것이다.필요에 따라 가졌던 것이 도리어 우리를 부자유하게 얽어 맨다고 할 때 주객이 전도되어 우리는 가짐을 당하게 된다는 말이다. 그러므로 많이 가지고 있다는 것은 흔히 자랑거리로 되어 있지만, 그마만큼 많이 얽히어 있다는 측면도 동시에 지니고 있는 것이다.
나는 지난해 여름까지 난초 두 분(盆)을 정성스레, 정말 정성을 다해 길렀었다. 3년 전 거처를 지금의 다래헌(茶來軒)으로 옮겨왔을 때 어떤 스님이 우리 방으로 보내준 것이다.
혼자 사는 거처라 살아 있는 생물이라고는 나하고 그 애들 뿐이었다. 그 애들을 위해 관계 서적을 구해다 읽었고, 그 애들의 건강을 위해 하이포넥슨가 하는 비료를 바다 건너가는 친지들에게 부탁하여 구해오기도 했었다. 여름철이면 서늘한 그늘을 찾아 자리를 옮겨 주어야 했고, 겨울에는 필요 이상으로 실내 온도를 높이곤 했다.
이런 정성을 일찍이 부모에게 바쳤더라면 아마 효자 소리를 듣고도 남았을 것이다. 이렇듯 애지중지 가꾼 보람으로 이른봄이면 은은한 향기와 함께 연둣빛 꽃을 피워 나를 설레게 했고, 잎은 초승달처럼 항시 청정했었다. 우리 다래헌을 찾아온 사람마다 싱싱한 난(蘭)을 보고 한결같이 좋아라 했다.
지난해 여름 장마가 갠 어느 날 봉선사로 운허노사(耘虛老師)를 뵈러 간 일이 있었다. 한낮이 되자 장마에 갇혔던 햇볕이 눈부시게 쏟아져 내리고 앞 개울물 소리에 어려 숲속에서는 매미들이 있는 대로 목청을 돋구었다.
아차 ! 이때에야 문득 생각이 난 것이다. 난초를 뜰에 내놓은 채 온 것이다. 모처럼 보인 찬란한 햇볕이 돌연 원망스러워졌다. 뜨거운 햇볕에 늘어져 있을 난초 잎이 눈에 아른거려 더 지체할 수가 없었다. 허둥지둥 그 길로 돌아왔다. 아니나다를까, 잎은 축 늘어져 있었다.
안타까워 안타까워 하며 샘물을 길어다 축여주고 했더니 겨우 고개를 들었다. 하지만 어딘지 생생한 기운이 빠져버린 것 같았다.
나는 이미 온몸으로 그리고 마음속으로 절절히 느끼게 되었다. 집착(執著)이 괴로움인 것을, 그렇다, 나는 난초에게 너무 집념해 버린 것이다. 이 집착에서 벗어나야겠다고 결심했다. 난을 가꾸면서는 산철(승가의 遊行期)에도 나그네길을 떠나지 못한 채 꼼짝 못 하고 말았다. 밖에 볼일이 있어 잠시 방을 비울 때면 환기가 되도록 들창문을 조금 열어 놓아야 했고, 분(盆)을 내놓은 채 나가다가 뒤미처 생각하고는 되돌아와 들여놓고 나간 적도 한두 번이 아니었다. 그것은 정말 지독한 집착이었다.
며칠 후, 난초처럼 말이 없는 친구가 놀러 왔기에 선뜻 그의 품에 분을 안겨주었다. 비로소 나는 얽매임에서 벗어난 것이다. 날듯 홀가분한 해방감. 3년 가까이 함께 지낸 \'유정(有情)\'을 따나 보냈는데도 서운하고 허전함보다 홀가분한 마음이 앞섰다.
이때부터 나는 하루 한 가지씩 버려야겠다고 스스로 다짐을 했다. 난을 통해 무소유의 의미같은 걸 터득하게 됐다고나 할까.
인간의 역사는 어떻게 보면 소유사(所有史)처럼 느껴진다. 보다 많은 자기네 몫을 위해 끊임없이 싸우고 있는 것 같다. 소유욕에는 한정이 없고 휴일도 없다. 그저 하나라도 더 많이 갖고자 하는 일념으로 출렁거리고 있는 것이다. 물건만으로는 성에 차질 않아 사람까지 소유하려 든다. 그 사람이 제 뜻대로 되지 않을 경우는 끔찍한 비극도 불사(不辭)하면서, 제 정신도 갖지 못한 처지에 남을 가지려 하는 것이다.
소유욕은 이해(利害)와 정비례한다. 그것은 개인뿐 아니라 국가간의 관계도 마찬가지. 어제의 맹방(盟邦)들이 오늘에는 맞서게 되는가 하면, 서로 으르렁대던 나라끼리 친선 사절을 교환하는 사례를 우리는 얼마든지 보고 있다. 그것은 오로지 소유에 바탕을 둔 이해관계 때문인 것이다. 만약 인간의 역사가 소유사에서 무소유사로 그 향(向)을 바꾼 다면 어떻게 될까. 아마 싸우는 일은 거의 없을 것이다. 주지 못해 싸운다는 말은 듣지 못했다.
간디는 또 이런 말도 하고 있다. \"내게는 소유가 범죄처럼 생각된다......\" 그는 무엇인가를 갖는다면 같은 물건을 갖고자 하는 사람들이 똑같이 가질 수 있을 때 한한다는 것. 그러나 그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므로 자기 소유에 대해서 범죄처럼 자책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우리들의 소유 관념이 때로는 우리들의 눈을 멀게 한다. 그래서 자기의 분수까지도 돌볼 새 없이 들뜨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언젠가 한 번은 빈손으로 돌아갈 것이다. 하고많은 물량일지라도 우리를 어떻게 하지 못할 것이다.
크게 버리는 사람만이 크게 얻을 수 있다는 말이 있다. 물건으로 인해 마음을 상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한 번 쯤 생각해볼 말씀이다. 아무것도 갖지 않을 때 비로소 온 세상을 갖게 된다는 것은 무소유의 역리(逆理)이니까.
翻譯:
事實上, 當人來到這世上時, 什麼東西也沒帶來, 活到名字消失, 離開人世時, 也是空手離開。在活著的過程中, 我們有了許多所謂生活上的必需品。不過這些都是一定需要的物品嗎?仔細想一想, 不一定要的東西還不少。
我們雖因需要而擁有物品, 但有時也因那些東西帶來不少牽掛。所以擁有什麼, 相對的就會為它所束縛。原來因為需要而擁有的, 到後來主客顛倒, 反而因此失去自由。或許, 因為比別人擁有更多而炫耀, 但炫耀多少, 同時也得承受多少束縛折磨。
到去年夏天之前, 我非常用心和費心地養了兩盆蘭花。三年前遷到茶來軒時, 一位法師送來蘭花, 成為房間內除了我以外的生命體。為了照顧這同居的小傢伙, 我特地買了養蘭的書看, 為了它的健康, 除了給它好的肥料, 夏天還移到涼快沒有日曬的地方, 冬天則把房間內的暖氣調降到低溫。如果把這樣的心思用在照料父母, 恐怕早就成為孝子。像這樣百般地關愛它, 也是有些回報。早春時, 淡雅的花香, 含苞待放淺色的花朵, 清新如上弦月的葉片, 讓人期待, 也獲得茶來軒客人的贊賞喜愛。
直到去年夏天的某一天, 我因要去奉先寺拜訪耘虛和尚, 外出途中, 原來籠罩在雨季中陰沈的天空, 突然露出晴朗的陽光, 樹木里流竄出蟬鳴聲, 此起彼落地與溪谷潺潺的流水聲唱和著。啊呀! 想起蘭花不放在外面的庭院嗎? 此時突然怪起眼前久未露面的難得燦爛陽光。一想到蘭花可能會被熾熱陽光曬到萎縮的光景, 顧不得一切, 慌慌張張地折回了住處, 果不出所料, 蘭花已經奄奄一息。心中有說不出的惋惜, 趕快給它澆水, 不久總算恢復原狀, 不過, 似乎沒有了原有的元氣。
那時, 我才深切領悟到執著的難受。沒錯, 我對蘭花太執念了。為了養蘭, 不但無法外出行腳, 有事外出時還得記得把窗門打開, 讓空氣流通切換。因為花盆擺在外面, 也不只跑回家兩, 三次, 這一切真是過於執著。我決定趕放下這執著
幾天以後, 我把它送給一位如蘭花般沈靜的訪友。我終於脫離了束縛, 雖說有三年共處的情感, 但是如釋負重的解脫勝過心中的不舍與失落。真是愉快的解脫!
9. 韓國語 用韓語怎麼說
韓國語 한국어